현재 파인드루트 서버 시즌 8이 리그로스 모드팩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리그로스(Regrowth)는 재성장, 재생이라는 뜻으로 이 모드팩은 황무지에서 자연을 다시 회복시키는?게 주요 컨텐츠인 모드팩 입니다.

주로 메지컬 크롭, 보타니아 등 식물을 다루는 모드들을 다룹니다.


시작하기 앞서 이 모드팩은 월드젠, 조합법을 대거 바꿔놓기 때문에 기존 바닐라대로 진행이 안될 수 있습니다.

아주 대표적인 예시로 땅속에 광물이 없습니다. 그럼 광물을 어떻게얻지??? 는 퀘스트를 깨다보면 알겠죠..?


진행은 주로 Hardcore Questing Mode의 퀘스트북을 이용하여 순서대로 퀘스트를 깨는 것으로 진행합니다.

특정 아이템 수집 퀘스트 등을 달성하면 보상을 주는 방식이고, 퀘스트를 안깨시면 진행이 힘듭니다.. 그냥 강제임


다만 퀘스트북으로 컨텐츠를 시작하시는게 익숙하지 않으신 분들을 위해 간단하게 요런 공략글을 적어봅니다.




처음에 주는 책을 우클릭하면 이런 화면이 나옵니다.

좌측 하단 Click here to Start를 눌러줍니다.



메인 페이지가 나오면 좌측 상단 Quests 밑 Click here to show quests를 눌러줍니다.



그 후 첫 번째 퀘스트인 1. What the World Came To Be를 누른 후 우측 하단에 Open을 눌러둡니다.



윽..  뭔가 복잡한게 나옵니다.

저기에 있는 아이콘들이 퀘스트들이며, 처음에는 1번부터 시작하지만, 제가 전날에 친구랑 퀘스트 진행상황을 공유하려고 파티를 맺어놓고 자고 일어났더니 다 밀려있습니다.

그래도 강좌를 위해 가출(...)하고 사진의 숫자대로 진행하는 모습을 보여드리겠습니다.




1. 나무판자랑 부싯돌 구하기


Detection task는 아이템을 발견 혹은 습득하는 임무입니다. 즉, 나무판자와 목탄, 부싯돌을 구하면 됩니다.



황무지에 듬성듬성 있는 나무를 캐면 막대기, 나무판자, 목탄 등을 주고



길바닥에 있는 회색 점토뭉치같은 슬레이트를 캐면 부싯돌을 줍니다.

둘을 열심히 모으면 첫 퀘스트 완료!




2. 도구 만들기


Crafting task는 무언가를 조합하는 퀘스트 입니다.

각종 도구 파츠를 만든 후 도구를 만드는 임무입니다.


조합법을 모르는 아이템은 커서를 올린 후 R키를 누르면 NEI를 통해 조합법을 알 수 있습니다.



하나의 예시로 부싯돌 도끼머리


도구 머리는 막대기와 조합하면 됩니다.

다만 곡괭이는 곡괭이 머리, x 자 조임쇠, 막대기 3개가 필요하고, 괭이같은 Mattock은 도끼날, 삽날, 막대기 3개가 필요합니다.


보상으로 칼날과 책을 받고 추가로 3가지 부품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데 왼쪽부터 팅커스 컨스트럭트의

롱소드, 레이피어, 브로드소드

를 만들 수 있는 부품입니다. 취향껏 선택해서 받아주세요.




3. 패턴 만들기


마찬가지로 무언가를 조합하는 퀘스트입니다. 

마찬가지로 조합해주시면 됩니다. 다만 조합대 조합법이 잘 안나오는데



이렇게 투명한 아이템과 나무판자를 조합하라고 나옵니다.



이건 팅커스 부싯돌도끼와 나무판자를 조합하면 됩니다.

죽은나무를 캐면 나오는 판자는 일반 나무판자 블럭과 레시피 호환이 됩니다.

그리고 부싯돌 도끼는 조합하고나면 온전히 돌려주지만, 한 번도 안써서 내구도 바가 아에 보이지 않아야 조합이 됩니다.




4. 씨앗 만들기


무언가를 발견하는 퀘스트입니다.

뼛가루는 밤에 스켈레톤을 잡아 얻으실 수 있고, 나머지는



길바닥에 있는 이 죽은잔디들을 캐다보면 나옵니다.

열심히 땅을 훑고다녀주세요




5. 컵 만들기


점토컵을 만드는 퀘스트입니다.



4번 퀘스트에서 얻었던 점토를 조합한 후,



화로에 구워주시면 되겠습니다.




6. 블럭캐기


흙과 조약돌을 땅속에서 캐시면 됩니다.




7. 농사짓기


작물 지지대(막대기 여러 개 같은것)를 만들고, 농사와 교배를 통해 사탕수수와 맨드레이크를 만드는 퀘스트입니다.


작물 지지대는 Agriculture라는 농사 모드 아이템인데 이것을 사용해야만 농사를 지을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

만들기 쉬우니 조합법 보고 만드시면 됩니다.



그 후 이때까지 모은 아이템으로 밭을 만들어줍니다. 땅은 Mattock으로 갈 수 있습니다.



 

사탕수수와 맨드레이크 품종은 교배를 통해 얻을 수 있습니다.



작물 지지대를 2개 설치하면 이렇게 십자교차된 작물 지지대가 나옵니다. 그 후 양 쪽에 교배를 원하는 작물을 각각 심어주면 낮은 확률로 교배종이 탄생합니다.




?. 썩은고기육포 만들기


진행하면서 좀비를 좀 잡다보면 썩은고기가 쌓입니다.


 

건조대를 만들고



설치한 다음 좀비고기를 널어두면



좀비고기 육포가 나옵니다

먹어도 굶주림에 걸리지 않고 허기 2칸을 올려주니 많이 이용하세요




8. 품종 분석기 만들기


품종 분석기를 만드는 퀘스트 입니다.

품종 분석기는 씨앗의 스텟(능력치?)을 확인하는데 사용합니다. 아마도



조합법에 유리가 들어갑니다.

유리는 모래를 화로에 구워야 얻을 수 있고,



모래는 땅속에 간간히 보이는 Red Sand를 캐거나, 



지표에 널린 매마른모래랑 물버킷을 조합하는 노가다로 얻을 수 있습니다.




-----------------------------------------------------------------------------------


이렇게 극초반 몇가지 퀘스트를 하는 모습을 보여드렸는데요,

변경된 점이 많다보니 바닐라 마인크래프트랑은 진행이 많이 다릅니다.


하지만 NEI에서 조합법을 계속 확인하고,

책을 읽고 계속 퀘스트를 진행하다보면 어렵지 않게 진행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듭니다.




Q. 영어를 못하는데 어떻게하나요?




번역기를 이용하세요!

파파고, 구글 번역 앱에서 카메라로 글자 인식해서 번역하는 기능을 쓰면 좋습니다.


Posted by RootJUiCE

  Dragon's Radio Mod

https://www.curseforge.com/minecraft/mc-mods/dragons-radio-mod

마인크래프트 버전 : 1.7.10

모드 최근 업데이트 : 15년 7월 24일

 

 

서론

드래곤즈 라디오 모드는 마인크래프트 게임 내에서 노래를 들을 수 있는 모드입니다.

바닐라처럼 음반(CD)를 넣어서 노래를 재생하는 것이 아니라, 라디오 블럭을 우클릭한 후 mp3 스트리밍 혹은 mp3 파일 URL을 적어서 사용합니다.

노래를 재생하면 라디오 주변에 있는 유저들이 그 노래를 들을 수 있구요.

 

 

MP3 스트리밍 URL의 경우는 보통 사설 음악 방송국 링크를 이용하고, 모드를 사용하는 개인들은 클라우드 서비스나, 블로그, 개인 파일서버 등에 올려놓고 mp3 파일 링크를 복사해서 사용하곤 합니다.

본인도 베리즈 웹쉐어라는 간단한 파일서버에 음악 파일들을 등록해서 씀

 

 

하지만 mp3 파일 URL로 노래를 틀어놓은 경우 불편한 점이 생깁니다.

1. 등록한 한 곡이 끝나면 따로 가서 재생버튼을 누르지 않는 이상 노래가 안나옴

2. 잠깐 멀리 떨어졌다오면 처음부터 다시 재생함

이래서 가끔가다 다른 유저들이랑 한두곡 같이듣기에는 좋지만, 본격적으로 쓰기는 조금 불편한 물건이였습니다.

 

 

하지만 스트리밍 URL을 사용하면 위 문제들이 해결됩니다.

글 최상단에 있는 드래곤즈 라디오 CurseForge 링크에 모드 설명 제일 밑을 보면 예시로 몇 가지 스트리밍 URL이 적힌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인게임에서 이걸 틀어보면 나름 괜찮아지는데, 직접 스트리밍 서버를 만들고 원하는 노래를 돌릴 순 없을까? 해서 하게 된 수 시간의 삽질 경험을 적어둡니다.

 

 

본론

 

음악 스트리밍을 하기 위해서는 음악 플레이어와, 송출 서버가 필요합니다.

 

옛날에는 음악 플레이어로 알송, 송출 서버 프로그램으로 ShoutCast를 사용하였으나, 몇 년 뒤에 다시 쓰려고 보니 둘 다 무료에서 수익창출화 빔을 맞는 바람에 윈엠프(Winamp)와 ShoutCast를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진 오픈소스 송출프로그램 Icecast를 이용하게 됐습니다.

Winamp 플러그인으로 원래는 edCast라는 플러그인을 이용했으나, 이 글을 적으면서 옛날에 했던데로 설치했는데도 뭔가 버그가 있어서.. 또 무수한 삽질 끝에 AltaCast로 대체했습니다.

대충 이런 과정

 

 

준비물 :

Winamp (윈엠프, 음악 플레이어)

Altacast Winamp (윈엠프 송출 플러그인)

Icecast2 (음악 스트리밍 서버)

포트포워딩 등 네트워크 관련 지식

 

 

세팅 과정

 

※ 만약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도 다운이 안 될 경우 다운로드 버튼 우클릭 -> 새 탭에서 링크 열기를 해보세요

 

1. 윈엠프 다운 및 설치

 

주의! 설치 다되면 자동으로 실행되는데 줜나 시끄러운 웰컴사운드가 나옴

https://www.winamp.com/ 로 이동한 후 좌측 하단 Download 버튼을 눌러 받으시고, 설치합니다. 

기본 설치경로는 C:\Program Files (x86)\Winamp 입니다.

 

 

2. Altacast Winamp 설치

 

http://www.altacast.com/index.php/downloads/ 로 이동한 후 AltaCast Winamp를 클릭해서 설치파일을 다운 후 설치해줍니다.

 

 

설치경로가 윈엠프 폴더를 가리켜야 합니다. 기본값이 Program Files (x86)이 아니라 Program Files 가리키고 있기 때문에 변경하셔야 합니다.

이미 존재하는 폴더라고 떠도 예를 누르고 설치해줍니다.

 

 

3. Icecast 설치

 

https://icecast.org/ 사이트로 이동해서 Icecast를 다운 후 설치해줍니다.

마찬가지로 설치 경로를 기억해주세요. 기본 경로 : C:\Program Files (x86)\Icecast

 

 

4. Icecast 서버 설정

 

셋 다 설치가 됐다면 먼저 Icecast 스트리밍 서버 설정을 변경해야 합니다.

Icecast가 설치된 경로로 가준 뒤 icecast.xml 파일을 텍스트 편집기(메모장 등)로 열어줍니다.

xml 파일에 hackme 라고 적힌 부분들은 비밀번호 영역이니 본인의 스트리밍 서버가 해적 방송에 이용되고 싶지 않다면 다른 것으로 바꿔줍시다. 

Listen 포트도 자신이 원하는 다른 포트가 있다면 바꿔주도록 합시다. 아울러 해당 포트는 방화벽 해제 및 포트포워딩도 해야 합니다. 다른 사람들도 접속하여 들을 수 있어야 하기 때문

 

수정이 완료됐다면 저장 후 Icecast를 실행해줍시다.

콘솔에 대충 요렇게 뜨면 스트리밍 서버는 잘 실행되는 것 입니다. 일단 켜두고 계속 진행합니다.

 

 

5. Winamp, Altacast 설정

 

다음으로 Winamp 세팅입니다.

윈엠프 실행 후 옵션 -> 프리퍼런스(단축키 Ctrl+P)로 설정 창을 열어줍니다.

 

 

좌측 설정 목록에서 Plug-ins - DSP/Effect 클릭 후, 목록에서 AltaCast DSP 클릭 후, 하단에 Configure active plug-in 을 클릭해줍니다. 그러면 AltaCast 설정 창이 뜹니다.

만약 뜨지 않는다면 밑에 Nullsoft Signal 뭐시기를 클릭 후 다시 AltaCast를 눌러보세요

 

 

설정 창에서 Add Encoder 버튼을 누른 후 하단 목록에 추가된 하나를 더블클릭합니다.

 

 

빨간 줄 친 부분을 본인 환경에 맞게 바꿔줍니다.

Encoder Type은 Dragon's Radio에서 사용하려면 반드시 MP3 Lame 으로 바꾸셔야 합니다(없으면 글 맨밑으로).

나머지는 자신이 구축한 Icecast의 설정값으로 적어 주시고 왼쪽 아래 OK를 누르시면 됩니다.

 

 

그 후 Connect 버튼을 눌렀을 때 목록에 Connected 라고 표시가 된다면 Winamp의 소리 출력이 Icecast에 송출될 수 있도록 연결이 된 겁니다.

이제 Winamp에서 아무 노래나 틀어보고 웹 브라우저에서 

http://<icecast 서버 주소>:<포트>/<Altacast 설정에서 적은 Mountpoint>

로 들어가봅니다

기본값 예시 : http://localhost:8000/stream.ogg

 

 

6. 확인

 

이렇게 음악 플레이어가 나오고, Winamp에서 틀어둔 노래가 여기서도 잘 들리면 세팅이 완료된겁니다.

이제 드래곤즈 라디오 모드에서 스트리밍 URL을 적어두면 스트리밍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른 유저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선에서.. 집에 배경음을 깔아보세요 HAYO!

 

 

 

 

+++ 22년 10월 9일 추가

만약 Altacast Add Encode 에서 Encode Type 에 Mp3 Lame 이 표시되지 않는다면

https://www.rarewares.org/mp3-lame-bundle.php

에 Download win32 bundle 다운 후 압축풀면 나오는 lame_enc.dll 파일을
winamp 설치 폴더(기본값 : C:\Program Files (x86)\Winamp)
에 덮어쓰고 winamp 재실행 후 확인해보세요

 

 

 

Posted by RootJUiCE

[1.7.10] 모드 링크북 -기술모드편-

기술모드?

기술모드는 주로 현실적인 광물과 기계와 공학적인 도구, 전력(에너지) 시스템, 발전 시설, 아이템 운송수단을 추가시키는 모드이다.

보편적으로 현대적으로 진화한 마인크래프트라고 생각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접근하기도 비교적 쉽다.

단독으로 발전, 생산, 자동운송 3박자를 지원하는 기술모드나, 3가지 모두를 충족하는 모드팩을 플레이 한다면 기존 마인크래프트에서는 할 수 없는 최첨단 무인 자동 생산 설비 등을 만들 수 있다.

내용 목록

  • Applied Energistics 2 (AE2)
  • BigReactors (빅리액터)
  • BuildCraft (빌드크래프트)
  • Ender IO
  • Extra Utilities
  • Forestry (포레스트리, 양봉)
  • IndustrialCraft 2 Experimental (IC2EX, 산업모드)
  • MineFactory Reloaded (마인팩토리)
  • Railcraft
  • Tinker's Construct (팅커스 컨스트럭트)
  • Thermal Expansion (써멀 익스텐션)

 

 - Applied Energistics 2 - 

AE는 서버 장비같은 기계와 네트워크, 하드디스크를 를 연상시키는 시스템들을 추가시키는 모드이다.

아이템을 데이터화 해서 하드디스크 아이템에 저장한다는 개념의 새로운 아이템 저장 방식을 추가한다.

즉, 창고방 대신 하드디스크를 많이 집어넣은 서버 네트워크를 만들고 집안 곳곳에 창고 네트워크에 접속 할 수 있는 단말기(터미널) 만 있으면 집 어디서든지 창고방에 있는 아이템에 접근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것 조차도 귀찮다면 무선 시스템을 구축해서 무선 단말기를 들고다니면 된다.

자동조합기능도 있어서 원목 몇만개를 때려박고 창고 몇천개를 만들으라고 명령을 내릴 수 도 있다. 클릭 몇번만으로 컴퓨터가 알아서 만들어준다.

 

AE2 공식 위키 : https://ae-mod.info/

모든 아이템 레시피와 설명이있지만 영어다.

 

나무위키 : https://namu.wiki/w/Applied%20Energistics%202

한국어로 아이템 설명이 적혀있지만 몇몇 누락된 아이템 설명이 있다.

 

유투브 : Applied Energistics 2 Tutorials & Builds

외국 유투버 TKH 가 올린 AE 강좌로 영어로 되어있지만, 강좌의 순서가 게임 진행 순서와 일치하며, 예제도 확실해서 도움이 된다.

기초, 응용, 고급, 심화 모든면에서 괜찮은 강좌이다.

자막을 자동번역 한국어로 해놓으면 나름 볼만하다.

 

블로그 :   FTB Laboratory 

AE2 기초부터 자동조합까지 강좌가 있어 정독하면 어느정도 AE를 다룰 수 있게 된다.

 

블로그 : Driven Into Failure

위와 동일

 

 

 

 - BigReactors - 

빅리액터 모드는 이름 그대로 거대한 원자로를 추가해주는 모드이다.

엘로륨(우라늄)을 소비하여 전력(RF)을 생산하는데, 연료 소모속도도 느리고 출력량도 막대해서 보통 OP로 취급한다.

한번 만들면 게임 끝날때까지 전기 펑펑 쓸 수 있게된다.

 

블로그 :  Minecraft Modification

리액터 설치법 및 터빈, 재료별 효율에 대한 공략이 적혀있다.

 

블로그 :   FTB Laboratory

원자로를 제어하는 방법(레드스톤, 레드넷, 컴퓨트)에 대한 공략이 적혀있다.

 

https://br.sidoh.org/

빅리액터 설계 효율을 시뮬레이트(테스트) 할 수 있는 사이트다.

 

 

 

 - BuildCraft - 

빌드크래프트는 발전기, 전력 운송 파이프, 아이템 운송 파이프, 석유 월드젠, 몇몇 기계들을 추가시켜주는 모드이다.

처음 나왔을 당시에는 획기적이였으나, 없데이트와 대체모드가 속속 등장함에 따라 현재에는 많이 사용하지 않는다.

 

블로그 :  대도서관의 냥치기

빌드크래프트의 보편적인 내용들이 적혀있다.

 

블로그 : StdCobble의 마인크래프트/게임 블로그

기본적인 내용에 로봇, 게이트에 대한 심층적인 내용, 응용강좌까지 있다.

 

 

 

 - Ender IO - 

엔더IO는 발전기, 생산기계, 갑옷, 도구, 전력 시스템, 전송 시스템 외 각종 유용한 유틸리티들을 추가해 준다.

이 모드 하나로도 자동농사, 발전, 처리시설 구축이 가능해지지만 전기 발전 효율이 타 발전 모드에 비해 떨어지는 편이다.

하지만 효율, 유틸성이 좋아서 있으면 초중후반 두루두루 사용된다.

패치가 자주 있어 강좌들은 참고만 하고 조합법 등은 NEI를 참고하는게 좋다.

 

블로그 : 뚜에뚜에 뚜에뚜에

블로그 전글삭제됨

 

 

 - Extra Utilities - 

엑스트라 유틸리티는 독자적인 운송 시스템, 유용한 도구들과 기계들, 조합 레시피, 특이한 연료를 소모하는 발전기 등을 추가합니다. 부가적으로 채광만을 위한 월드인 딥 다크 판타지월드와 공허한 공간 뿐(?)인 라스트 밀레니엄 차원을 추가 해줍니다.

발전기들의 효율은 떨어지나 직관적이여서 쓰기 쉽고 몇몇 특이한 발전기의 경우 잠재력이 있어 사용하는 유저가 간혹 있습니다. 발전기가 있지만 전기를 사용하는 기계는 많이 있지 않아 이 모드만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기술모드로 분류되어있지만 사실 모드 이름답게 부가적인 유틸성 도구들이 훨씬 유용한 편인 모드

 

블로그 :  노란라마's 레트로게임 

대부분의 강좌가 마련되어있다.

 

 

 

 - Forestry - 

포레스트리는 몇몇 발전기들과 자체 추가된 벌, 새로운 종의 나무 및 벌과 나무 등에서 수확한 자원을 처리하는 기계를 추가해 주는 모드다. 사용 전력은 RF이다.

벌과 나무를 교배 혹은 유전자조작해서 각종 자원을 생산하는 시설을 만들 수 있다.

단독보다는 타 모드와 섞어 쓰면 효율이 좋다.

 

나무위키 : https://namu.wiki/w/Forestry

기초적인 내용 위주로 문서 작성이 잘되어있다.

 

블로그 :  대도서관의 양치기 꿈틀꿈틀 

벌 교배에 대한 강좌가 적혀있다. 

 

 

 

- IndustrialCraft 2 Experimental -

산업모드는 자체 전력 시스템(EU)과 각종 발전기, 생산기계와 도구들을 추가시켜주는 모드다.

비교적 현실성 있는 간단한 화력, 지열발전기부터 원자력 까지, 홉을 이용한 맥주 양조(?),

후반 컨텐츠를 위한 만능물질(UU) 및 이를 이용한 광물복제(!!)

그리고 강력한 도구들과 거의 모든 데미지를 막아주는 퀀텀 슈트까지

모드의 불륨이 커서 산업모드 단일로 플레이 해도 문제가 없을 정도이다.

 

단, 운송 시스템이 거의 없다시피하여 단일로는 자동화가 조금 무리있고, 

사용하기 직관적인 다른 기술모드에 비해 조금 진입장벽이 있다.

또한 자체 전력단위(EU)를 사용하며 RF와 상호 변환이 안되기 때문에 타 모드와 사용할때도 애로사항이 있다.

그나마 Experimental 업데이트에서 진입장벽이 조금 낮아진게 다행

 

블로그 :  이 세상에서 병아리가 제일 쎄다.

각종 생산 기계들의 공략이 적혀있다.

 

블로그 : 게임정복자의 게임공간

(1.11.2 버전 강좌)테크 별 강좌와 각종 도구들, 원자력 설계에 대한 내용이 있다.

1.7.10과 크게 바뀐 게 없어 참고용으로 읽으면 좋다.

 

 

 

- MineFactory Reloaded -

마인팩토리는 전력단위 RF를 이용하는 각종 발전기와 생산기계 및 몇몇 도구들을 추가시켜준다.

마인팩토리의 주 기능은 이름에서도 볼 수 있듯 생산기계로 각종 자동화 공장을 만들 수 있다.

자동 나무농장, 자동 동물농장, 자동 몹농장 등 이 모드 하나만으로 대부분의 마인크래프트의 제작 노가다를 자동화 할 수 있다.

 

블로그 : 가온의 마인크래프트 테킷

몇개의 생산 기계 강좌에 더불어 응용 예시 강좌도 있다.

 

블로그 :  코블스톤 노동조합

몇개의 생산기계 강좌가 있다.

 

 

 

 

작성중..

Posted by RootJUiCE

Twitch 런처 및 프로필을 이용하여 

마인크래프트 모드팩을 설치하는법

18년 8월 16일 기준





트위치 런처에는 트위치 방송을 보는 시청 기능 뿐만이 아니라 Curse 런처를 합병하면서 생긴 마인크래프트 모드팩 관리 기능도 있습니다.

이 모드 관리 기능을 이용하면 모드나 모드팩을 손쉽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여러개의 모드팩을 다른 폴더에 설치하기 때문에 한번에 여러개의 모드팩을 설치해두고 원할때 설치해 둔  다른 모드팩을 플레이 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트위치 런처를 이용하여 프로필 내보내기를 통해 만들어진 모드팩을 설치하는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트위치로 모드팩 설치하기


먼저 트위치 런처를 설치합니다.

https://app.twitch.tv/download

위 주소로 들어가면 트위치 런처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설치한 후 회원가입 혹은 로그인을 합니다.




메인화면으로 들어오게 되면 상단에 모드 라고 적힌 텝이 있습니다. 클릭한 후 마인크래프트를 들어가줍니다.



마인크래프트를 선택하면 자신이 이미 만들어놓은 프로필들이 표시됩니다. 

기존에 올라온 모드팩들을 손쉽게 받아서 플레이 하거나 커스텀 프로필 만들기를 통해 다른 분들이 내보낸 프로필을 설치하거나 직접 모드팩을 만들 수 있습니다.

커스텀 프로필 만들기를 클릭해줍니다.




커스텀 프로필 만들기를 클릭한 후 가져옵니다. 를 클릭합니다. 그 후 내려받으신 프로필 압축파일을 선택합니다.




선택하면 자동으로 설치가 시작됩니다.




설치가 완료되고 마인크래프트를 실행했을 때 플레이 버튼에 Forge 버전과 모드팩 이름이 표시되면 성공적으로 설치된겁니다.




수동으로 렘 설정하기


트위치런처는 자동으로 렘을 할당해주지만 고사양 모드팩, 텍스쳐팩 사용 등으로 렘을 더 할당해야 할 경우 임의로 렘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트위치 런처에서 마인크래프트 프로필을 선택한 후 상단에 ... 을 클릭하면 프로필 매뉴를 볼 수 있습니다. 프로필 옵션을 클릭하면 렘을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 설정 사용 채크를 풀고 슬라이드바로 렘 할당량을 조절 할 수 있습니다.



Posted by RootJUiCE

수동으로 마인크래프트 Forge 및 모드(팩)을 설치하는 법 
& JVM 설정(램 할당)

2020년 8월 2일 갱신


포지는 마인크래프트에 모드를 만들기 쉽게 도와주는 도구입니다.

대부분의 모드는 포지를 이용하여 만들었기 때문에,
포지를 설치하여야만 모드가 추가된 마인크래프트를 할 수 있습니다.



1. Minecraft Forge 설치하기


포지를 설치하기 앞서, 모드를 추가하려는 마인크래프트 버전을 한번 실행해야 합니다.

다른 버전의 마크를 실행하려면 프로필(설치 설정)을 만들어야 합니다.

마인크래프트 런처에서 설치 설정을 누른 후 신규 버튼을 누릅니다.



버전에서 원하는 버전을 선택 후 우측아래 만들기 버튼을 눌러줍니다.
이름은 아무 글자나 적어도 괜찮습니다.



방금 만든 프로필로 게임을 실행해줍니다. 플레이 버튼 클릭



다음은 사이트 https://files.minecraftforge.net/ 로 이동하여 자신이 원하는 포지의 버전을 다운로드 합니다.

이 글에서는 Forge1.12.2-14.23.5.2854 버전을 받습니다.


사이트에 접속하면 좌측에 마인크래프트 버전 목록에서 버전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원하는 버전을 클릭합니다.

다음으로 원하는 포지 버전을 선택하여 설치기(Installer)를 받아줍니다. Installer 버튼 클릭

좌측은 해당 마크 버전의 가장 최신 마크버전, 우측은 안정적인 버전 중 제일 최신것입니다. 이 둘이 아닌 특정 버전의 포지가 필요한 경우 하단  + Show all Version  버튼을 눌러줍니다.


 + Show all Version  버튼을 누르면 모든 포지 버전들이 표시됩니다.
원하는 버전의 Installer 글자를 클릭합니다.



Installer를 클릭하면 상단에 이런 창이 나오는 사이트가 열립니다.
5초~정도 기다리면 우측상단에 SKIP 버튼이 생겨납니다. 

SKIP버튼을 누르면 포지 다운로드가 시작됩니다.



다운받으면 실행


실행하면 이런 창이 뜹니다. 마크가 다른 폴더에 설치되어 있다면 경로를 변경하시고,
아니면 그대로 확인을 눌러줍니다.



확인을 누르면 자동으로 파일들을 다운받아 포지를 설치합니다.
위와 같은 창이 나오면 포지 설치가 완료된겁니다.



마인크래프트 런처를 실행하면 좌측 하단에 forge 프로필이 선택되어 있습니다.



마인크래프트 실행 후 메인화면 좌측 하단에 위와 같은 문구가 나온다면 설치가 정상적으로 된겁니다.



2. 모드(팩) 설치하기


일반적으로 Curse 같은 곳에서 모드 하나를 다운로드 했다면 모드이름.jar 파일 하나가 나오고, 모드팩을 다운로드 하셨다면 수~십개의 xxx.jar 파일들 혹은 config 라는 폴더와 mods 라는 폴더가 함깨 들어있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jar는 모드파일이고, 마크가 실행될 때 변경가능한 설정값들을 기록하는 파일이 config 폴더 내부에 생성됩니다.

즉 config 폴더는 모드 파일을 아니지만, 모드 설정들이 저장되어 있는 폴더입니다.
모드팩이 포함된 모드의 설정들을 변경하였을 수 있으므로, config 폴더가 동봉되었다면 config 폴더 또한 넣으셔야 합니다.

mods 폴더는 모드들이 들어가는 폴더입니다.


※ 기본 설치경로(%appdata% 기준) ※


첫번째로 마인크래프트 설치 폴더를 엽니다.

기본 마인크래프트 설치 경로는 윈도우키 + R 을 누르면 나오는 실행 창에 %appdata% 라고 입력 후 엔터(확인버튼 )를 누르면 열리는 폴더에서 .minecraft를 들어가면 됩니다.

config 폴더와 mods 폴더가 새로 생긴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설치할 모드 혹은 모드팩을 준비합니다. 본 글의 경우 접속중인 서버의 모드팩을 기준으로 설명드립니다.


모드팩 내부의 mods 폴더에는 .jar 확장자의 모드파일이 들어있고 config 폴더에는 .cfg 확장자의 설정파일들이 있습니다.

이 파일들을 마인크래프트 설치 경로속에 생성된 mods 폴더와 config 폴더에 맞춰서 넣어주시면 됩니다.

mods 폴더에 .jar 모드파일을 넣어두면 포지가 실행될 때 자동으로 mods 폴더 속 모드파일 들을 인식합니다.


※주의사항

mods 폴더 안에 바로 .jar 모드파일이 있어야 하며 mods\mods\모드파일들~ 식으로 넣으시면 모드가 실행되지 않습니다.

또한 기존에 config 폴더나 mods 폴더가 이미 존재할 경우(이전에 설치한 사용하지 않는 모드) 해당 폴더 속에 있는 파일들을 지우시고 새로이 넣으려는 모드를 넣으셔야 합니다.

'

사진처럼 넣으면(mods 폴더속에 mods폴더가 있음) 모드가 인식되지 않습니다.




모드를 넣고 버전선택에서 포지를 선택한 프로필을 선택하셨나 다시한번 확인해주시고 마인크래프트를 실행해줍니다.

게임 로딩이 오래걸리고 넣은 모드 수 만큼 모드가 인식되었다고 표시되면 설치가 완료된겁니다.




3. 게임에 들어갔는데 이 심해요!
JVM 인자(파라메터 or 아규멘트) 설정


모드가 많아질수록 로딩해야 할 파일들이 많아집니다.

마크 기본 메모리 할당량은 낮기때문에 모드가 많이 추가되면 랙이 걸릴 수 있습니다.

모드팩 등을 플레이 하신다면 추가적으로 메모리를 더 할당할 필요가 있습니다.


마인크래프트 런처에서 설치 설정을 누른 후 생성된 포지 프로필을 클릭합니다.



우측하단에 설정 더 보기를 클릭합니다.



JVM 인수 입력칸에 적힌 내용 중 -Xmx2G 에서 숫자를 필요한 만큼 변경해줍니다.

4기가를 할당한다면 -Xmx2G를 -Xmx4G로 변경 후 저장합니다.



인게임에서 F3을 누르면 나오는 모니터링 창이 나옵니다.

모니터링 창 우측 상단에 할당한 만큼의 메모리가 적용되어 있다면 잘 설정되신 겁니다.



Posted by RootJUiCE